IT/CS50x 2023
CS50x 2023 - Lecture 0 - Scratch
민트컨디션
2023. 12. 21. 12:33
- Binary
- Unary: 일진법
- Bit (비트): 정보의 가장 작은 단위로 0 또는 1의 값을 나타낸다.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 단위입니다. "Binary Digit"의 줄임말로, 이진수 체계에서 한 자릿수를 나타낸다. 컴퓨터에 들어있는 수많은 물리적인 트랜지스터로 스위치를 켜고 끄는것과 같이 비트 연산을 한다.
- Byte (바이트): 보통 8개의 비트로 구성된 데이터 단위. 즉, 8개의 비트를 모아 표현한 것이며, 문자 하나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영문 알파벳 한 글자는 보통 1바이트로 표현된다.
따라서 비트는 0 또는 1의 값을 갖는 최소한의 데이터 단위이며, 바이트는 보다 큰 데이터 블록으로, 여러 비트를 모아서 정보를 표현한다. 컴퓨터 메모리, 저장 장치 등에서는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가 저장되고 처리되며, 일반적으로 파일 크기나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을 표시할 때에도 바이트 단위가 주로 사용된다.
- Representation
- 그래서 0, 1로 알파벳 등은 어떻게 나타내는가? - 알파벳에 번호 부여. 대표적인 표준코드가 ASCII(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)이다. 영어 말고 외국어를 폭넓게 지원하는 Unicode도 많이 쓰인다.
- RGB(Red, Green, Blue): 각 색상이 0~255까지의 값을 가지며, 이 세개 byte의 조합으로 색을 나타내는 방법이다. 수많은 픽셀들의 조합이 이미지가 되고, 수많은 이미지의 조합이 동영상이 된다.
- Algorithms
- Bisecting algorithm. 전화번호부에서 특정 이름을 찾기 위해 해당되지 않는 알파벳 페이지들을 절반씩 찢어가면서 찾는 예시
- pseudocode로도 위 알고리즘을 표현해보임.
- Scratch예시
- Hello, world, Text to speech, Loops, Custom blocks & Function, Conditionals
- 그외 예시
- Whack-a-mole, Oscartime, Ivy's Hardest Game